숏폼으로 돈 벌기! SNS플랫폼 수익화이야기
숏폼도 돈이 된다~! 숏폼 수익화 모델에 힘실어주는 SNS플랫폼에 대해 오늘은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최근 인스타그램이든 유튜브나 틱톡 등 SNS에서 반려동물 계정을 만드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만큼 국내에 반려인이 많기 때문인데요. 반려동물은 인간보다 수명이 짧기 때문에 순간을 기록하고자
SNS계정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유튜브의 '쇼츠' 또는 인스타의 '릴스'처럼 호흡이
짧은 영상이 유행을 하면서 제작의 부담을 줄이고 손쉽게 영상을 올리는 추세입니다.
반려동물 관련 숏폼이 전보다 더 자주 눈에 띄는 이유도 그 이유 때문이죠.
저도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 반려동물은 아니고 제 아들의 숏폼을 자주 올리는 편인데요. 가끔 올린 영상들 중에는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았는지 조회수와 좋아요가 많이 나오기도 해요. 그럴 땐 우리 아들 이뻐해 주니 기분 좋다는 마음에 뿌듯해지기도 하고요. 전 아직 수익과 연결은 안 되지만요^^
근데 최근 유튜브나 틱톡에서 숏폼 수익화 모델을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원래는 짧은 영상은 돈이 안된다고 했는데 이젠 그 틀이 깨진 겁니다.
저도 언젠간 인스타와 유튜브로 돈을 벌 그날을 상상해 보며 플랫폼별로 어떻게 수익화모델을 진행하고 있는지 한번 찾아봤습니다.
숏폼의 원조 - 틱톡의 수익 분배 방법
틱톡은 2016년에 등장해서 무려 5년 만에 세계 10억 명의 사용자를 달성한 인기숏폼 플랫폼입니다. 인기가 많아지면서 플랫폼에서 수많은 팔로워를 거느린 틱톡커들이 생겨났죠. 그러자 이들 사이에서는 조회수 대비 수익성이 거의 없다는 불만이 나왔는데요. 결국 지난해 6 얼 미국에서 '틱톡펄스'를 도입해서 일부 크리에이터에게 광고수익을 창출할 기회를 제공했어요. 틱턱 펄스는 영상에 붙는 광고 수익을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광과 브랜드와 협업 기회를 확대하고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틱톡 펄스로 수익 창출을 하려면 기준이 상당히 까다롭다는 겁니다. 팔로워 수가 10만 명 이상, 한 달에 최소 5개 이상 영상 업로드, 올린 콘텐츠 중에서 최상위 4%에 해당하는 영상만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조건이 워낙 까다로워 실제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창작자는 제한적이라는 비판이 많습니다. 게다가 아직 미국 와 일부 지역에서만 시범 운영 중이라 우리 한국 사용자들에겐 사실상 의미 없는 제도라 고하네요.
그런데 틱톡은 올해 2월, 미국에서 새로운 크리에이터 수익화 도구 ‘크리에이티비티 프로그램(Creativity Program)’을 발표했습니다. 크리에이티비티 프로그램은 기존 수익화 도구를 기반으로 크리에이터의 피드백을 반영해 새롭게 출시한 프로그램으로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면 18세 이상, 틱톡이 정한 최소 팔로워 수와 영상 조회수를 충족해야 합니다.
틱톡은 충족해야 하는 기준 팔로워 수와 영상 조회수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이전보다는 기준이 완화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앞서 IT 매체 디 인포메이션(The Information)은 틱톡이 기존의 크리에이터 수익화 프로그램을 개편해서 출시한다고 보도했는데요. 매체는 당시 틱톡이 1만 명의 팔로워와 조회수 10만 건을 달성한 크리에이터에게 수익을 배분한다고 전했어요. 그렇기 때문에 이전보다 실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창작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지난 3월엔 크리에이터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프리미엄 콘텐츠로 판매할 수 있는 '시리즈'기능을 출시했는데요. 틱톡은 우선 선별된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기능을 테스트하고 나서 몇 달 안데기능을 확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시리즈 기능은 최대 80개의 영상을 묶음 판매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을 통해서 틱톡은 고품질의 콘텐츠를 수급하고, 크리에이터는 수익을 창출할 기회를 늘리는 것입니다.
전면 개편해서 내세운 것치고는 빈약한 수익화모델 - 인스타그램 릴스
인스타그램은 릴스를 앞세워서 틱톡을 가장 활발하게 견제하는 플랫폼 중 하나인데요. 지난해 5월에는 플랫폼 인터페이스를 릴스에 가장 최적화되도록 전면 개편해서 틱톡을 거세게 압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릴스 창작자에 대한 보상은 빈약하다는데요.
지난 2021년 12월 인스타그램은 '릴스 플레이 보너스 프로그램'을 도입해 조회수 기준을 충족한 크리에이터에게 최소 600달러(한화 약 74만 원)에서 최대 3만 5000달러(한화 약 4200만 원) 을지 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역시 점점 세력을 넓히는 틱톡을 견제하고 더 많은 숏폼 크리에이터를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려는 전략이었죠. 지급하는 금액의 규모를 보면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이는 최근까지도 미국에서만 시범 운영했고, 지급의 기준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거기에 지난해 4월에는 메타가 크리에이터들의 릴스 지원금을 대폭 줄였다는 의혹이 나오면서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당신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지급자금이 최대 70%가량 줄었다고 하네요.
동시에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 충족해야 하는 조회수는 기존보다 10배가량 늘어났고요. 크리에이터들이 불만을 토로하자 3월 프로그램을 중단했습니다. 이후 광고 확대를 통한 수익공유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지만, 정확한 크리에이터 수익화 모델은 발표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틱톡커 대거 유튜브 쇼츠로 이동할 수도' - 가장 파격적인 모델 꺼낸 유튜브
7월, 글로벌 모바일 앱마켓 분석 사이트 데이터에이아이는 전 세계 안드로이드폰 이용자 1인당 앱별 사용시간을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지난해 1분기 기준, 틱톡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은 23.6시간으로, 유튜브의 23.2시간을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그동안 SNS 앱 중에서 절대 강자로 꼽히던 유튜브로선 이런 결과가 절대 달갑진 않았을 거예요.
최근에 유튜브는 틱톡을 견제하고자 쇼츠를 플랫폼 전면에 내세우며 주력 사업으로 성장시키고 있습니다. 숏폼 플랫폼 중 가장 파격적인 모델을 내놓은 것도 바로 유튜브입니다. 지난 2월, 유튜브는 기존 수익 창출 프로그램인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 대상에 쇼츠 창작자를 포함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지난 12개월간 공개 영상 유효 시청 시간이 4000시간 이상, 구독자 수 1000명을 넘어야 가능합니다.
한눈에 봐도 틱톡보다는 기준이 덜 까다로워 보이죠? 유튜브는 쇼츠 영상에 광고를 삽입해 이를 통한 광고수익 중 무려 45%를 창작자에게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광고수익의 절반 가까이를 나누겠다고 결정한 셈입니다.
그뿐 아니라, 기존 유튜브에만 적용했던 창작자 후원 프로그램 '슈퍼땡스'기능을 도입했습니다. 덕분에 쇼츠 제작자도 후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IT 매체 테크크런치는 유튜브의 다소 파격적인숏폼 수익 창출 정책에 틱톡 크리에이터가 대거 이동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만큼 유튜브의 새로운 수익화 전략은 크리에이터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히 매력적인 조건입니다.
왜 이리 다들 난리지? 플랫폼들이 숏폼 수익화에 힘주는 이유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주요 SNS기업들이 너도나도 숏폼 수익화 프로그램을 내놓는 것은 그만큼 숏폼의 위상이 올라갔기 때문이에요. 실제 2월 글로벌 MCN 콜랩아시아가 100여 개의 유튜브 채널의 시청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조회수의 88.2%가 쇼츠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그만큼 긴 영상보다 짧은 영상을 소비하는 추세가 확대된 건 사실입니다.
게다가 SNS를 가장 활발히 사용하는 주 소비층인 MZ세대 사이에선 숏폼이 일상으로 자리 잡았어요. 지난해 7월, 대학내일 20대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MZ세대의 81.2%가 숏폼 플랫폼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했죠. 심지어 10대 후반~20대 중반에 해당하는 Z세대 중 절반 이상이 매일 숏폼 콘텐츠를 시청한다고 응답할 정도였습니다. SNS 기업 입장에서 이용자를 플랫폼에 더 오래 머물게 하려면, 주 소비층이 즐기는 콘텐츠가 많은 게 좋겠죠. 그래서 숏폼 수익화 모델에 힘을 줄 수밖에 없는 겁니다.
현재로선 유튜브의 쇼츠가 크리에이터에게 가장 매력적인 수익정책을 갖춘 것으로 분석됩니다. 틱톡과 인스타그램은 많이 분발해야 할 것 같은데요. 조건이 많이 완화되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좋은 수익소식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 테크플러스에서 발췌 -
댓글